Uipath 배열 추가와 초기화하는 방법입니다
1. 배열 초기화는 New String(){}으로 초기화를 진행합니다 이때 초기화 선언의 위치가 중요합니다 작업 도중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기존에 데이터를 없애 버리고 새로운 데이터를 받을 수 있습니다
2. 배열에 등록해야 하는 데이터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 초기화 방식을 활용하여 New String(){"값 1", "값 2", "값 3"}등등 이때 값 1 앞뒤로 큰따옴표가 필요합니다 왜 큰따옴표가 들어가야 하는지 이해가 안 되시는 분은 자료구조 배열을 공부해봅시다
3. 아래 배열 추가에는 2가지를 작성해뒀습니다
3-1. 배열. Append("""" + 배열추가값+ """"). ToArray으로 작성 됐을 경우는 배열을 이미 담았지만 한 번 더 배열을 담고 싶을때 사용 됩니다 ex)이미 해당 배열의 값을 다른 변수로 받아서 한번더 가공이 필요한 경우(자주 발생하지 않는 케이스)
3-2. 배열 2.Append(배열추가값). ToArray으로 작성 됐을 때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배열 추가하는 내용입니다
값만 그대로 배열에 추가하는 방식입니다
※특이사항
보시면서 3-1은 어떨 때 사용하라는 건지 이해가 안 되시는 분들을 위해 추가로 예시 설명 드리겠습니다
과제를 진행하다 보니 특정 단어가 포함이 되면 그 작업을 진행이 필요한 개 이때 특정단어가 여러 개를 비교해야 했습니다
if문에 배열변수. append(일반변수. contains(배열추가값. toString)). Toarray 이런 형태일 때 contains() 괄호 안에는 "변수"가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큰따옴표를 여러 번 사용합니다
'Uipat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ipath Throw 에러 발생 시키기 (0) | 2023.05.31 |
---|---|
Uipath zip 만들기 (0) | 2023.05.31 |
Uipath Orchestrator 로컬 설치 2번(with.순서대로 진행) (0) | 2023.05.03 |
Uipath Orchestrator 로컬 설치 1번(with.순서대로 진행) (0) | 2023.05.03 |
Uipath null 값 체크 (0) | 2023.05.02 |
댓글